위 복사된 코드를 테마사이트에 적용해야 합니다. 관리자로 로그인을 하여 아래와 같은 단계로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테마의 사용자정의 ( Customize )
관리자로 로그인하여 페이지로 이동하면 상단에 “사용자정의”이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메뉴를 클릭하고 다음으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CSS 적용
사용자정의 메뉴 중 추가 CSS 로 이동하여 위에서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추가 이후 아래의 코드로 함께 붙여넣기 해줍니다. 주의할 점은 font-family 속성이 잘 맞아야 합니다. Roboto 다음에 오는 Noto Sans KR을 삭제하고 위 눈누폰트에서 복사한 코드 중 font-family 에 해당 하는 영문자를 넣습니다. 본 매뉴얼에서는 “SBAggroB”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글자가 들어가 있습니다.
CSS를 적용한 최종 모습은 위와같습니다. 눈누폰트에서 복사한 코드를 넣고 제공되는 css를 입력하면 우측에 미리보기를 통해 적용된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장하고 화면으로 이동하시면 모든 설정이 완료됩니다.
플러그인이란?
*케이테마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플러그인은 데모파일 임포트 실행시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기능을 확장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워드프레스 대시보드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러그인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SEO 최적화, 보안 강화, 캐시 관리, 사이트 분석,회원관리, 게시판 기능등이 모두 플러그인이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많은 플러그인은 무료로 제공되지만, 유료 플러그인도 많이 있습니다. 유료 플러그인은 더 많은 기능과 향상된 지원을 제공하니 무료로 이용해보시고 필요한 플러그인에 대해서는 유료로 전환을 검토해보셔도 좋습니다.
플러그인 쉬운설치
플러그인 zip파일을 통한 설치
플러그인 FTP를 이용한 설치
플러그인 삭제
플러그인 업데이트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관리자페이지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워드프래스 관리자 페이지에 등록되지 않은 플러그인의 경우 수동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수동 설치는 관리자페이지에서 zip파일을 통한 업로드와 FTP를 통해 파일을 직접 업로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자세한 설명을 통해 각 방법에 대해서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 쉬운설치
플러그인의 설치는 관리자페이지에서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페이지 > 플러그인 > 새로추가
메뉴로 이동하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러그인이 표시됩니다. 원하는 플러그인의 이름을 2의 검색폼에 입력하면 검색을 할 수도 있습니다. 목록에서 원하는 플러그인을 “지금설치” 버튼을 통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활성화”버튼이 생깁니다. 이 버튼을 눌러 플러그인을 활성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리자페이지 > 플러그인 > 설치한 플러그인
설치한 플러그인 페이지에서 활성화 된 플러그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zip파일을 통한 설치
플러그인이 워드프레스 공식사이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가 가능합니다. zip파일 형식으로 된 파일을 등록해야 합니다.
관리자페이지에서 플러그인 페이지의 새로추가로 이동하면 플러그인 파일을 직업 업로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줍니다. 상단의 “새로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플러그인 압축파일을 선택하여 열어줍니다. 선택 후 “지금설치”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플러그인 설치가 완료되면 완료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활성화”버튼을 누르면 플러그인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자동설치와 마찬가지로 플러그인의 “설치한 플러그인”페이지에서 설치된 플러그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FTP를 이용한 설치
워드프래스 FTP를 통해서 테마나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경우에 FTP를 통해서 플러그인을 설치하게 됩니다.
유료플러그인을 구매하는 경우
무료플러그인이지만 워드프래스 쉬운설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보안상의 이유로 서버권한이 제한된 경우
기타
일반적으로 유료플러그인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 FTP를 이용해서 설치를 하게 됩니다. 설치는 아래의 단계로 진행이 되게 됩니다.
워드프래스가 설치된 호스팅 서버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FT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호스트/사용자명/비밀번호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관련하여 FTP 이용안내 글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1번이 본인의 컴퓨터고 2번이 호스팅 서버입니다. 압축 푼 폴더가 있으면 모두 서버쪽으로 이동시켜 줍니다. 선택하여 드래그 드랍을 해주시면 모두 오른쪽으로 이동됩니다. 이때 유의할 점은 2번으로 마우스를 끌어갈때 폴더위에 놓으면 안되고 공백이 있는곳에 놓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시면 파일이 전송되고 완료후에는 2번에 목록에 표시됩니다.
관리자페이지 > 플러그인 > 설치한 플러그인
설치한 플러그인 페이지에서 활성화 된 플러그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삭제
플러그인의 삭제는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 설치한 플러그인
설치한 플러그인 목록으로 이동하여 플러그인 삭제를 진행합니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플러그인은 삭제를 할 수 없습니다. 먼저 비활성화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러그인을 비활성화 하면 삭제버튼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삭제”버튼을 클릭하면 경고창이 뜨고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여러 플러그인을 삭제하기 원하는 경우 일괄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삭제를 원하는 플러그인을 체크합니다. 상단의 “일괄작업”을 선택하면 “삭제”가 있습니다. 선택 후 “적용”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활성화 되어있는 플러그인은 비활성화 작업이 먼저 필요합니다.
플러그인 업데이트
플러그인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플러그인 목록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금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면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진행이 됩니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업데이트 됨!” 이라고 메시지가 표시되게 됩니다.
워드프레스 전체 업데이트
워드프레스의 업데이트 요청내역을 전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페이지에서 알림판의 업데이트 페이지가 바로 그곳입니다. 이곳 페이지에서는 다음에 대한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업데이트
플러그인 업데이트
테마 업데이트
번역 업데이트
각 업데이트 섹션에서 필요한 업데이트를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업데이트를 모두 진행하면 진행완료 화면이 표시됩니다.
이제 모든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습니다. 업데이트 완료 후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결론
플러그인의 설치/삭제/업데이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플러그인의 활용은 워드프레스 사용에 필수적이지만 속도을 저하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설치 시 이를 고려하여 설치하시고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인은 비활성화 혹은 삭제처리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러그인 설치/업데이트 전 꼭 백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엘리멘터(Elementor)는 워드프레스의 강력한 페이지 빌더 플러그인으로, 사용자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쉽고 직관적으로 웹사이트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래는 엘리멘터의 주요 옵션과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입니다
엘리멘터 편집화면 구조
엘리멘터 편집 화면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뉩니다.
상단 메뉴 : 페이지 전반에 대한 설정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
위젯 패널 : 엘리멘터는 다양한 레이아웃을 제공합니다.
네비게이션 : 페이지의 구조를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트리 구조 탐색 도구입니다.
컨텐츠영역 : 디자인이 적용되는 실시간 미리 보기 영역입니다.
1. 상단메뉴
1-1. 테마빌더
헤더 및 푸터, 아카이브, 404, 우커머스 페이지 같은 전체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반복되는 부분을 디자인하여 전체제어가 가능하여 사이트의 모든 부분을 맞춤설정할 수 있습니다.
1-2. 히스토리
엘리멘터에서 작업 전 상태로 실행 취소 할 수 있습니다.
1-3. 사용자 기본 설정
1-4. 키보드 단축키
엘리멘터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1-5. 워드프레스로 나가기
워드프레스 글쓰기 편집기 창으로 나가게 됩니다.
1-6. 엘리멘터페이지표시
작업중인 페이지로 이동 및 새 페이지 추가가 가능합니다.
1-7. 게시물설정
페이지 제목, 상태(임시글, 검토대기중, 비공개, 발행함), CSS 등을 관리. 또한 엘리멘터로 모바일사이트를 만들 때 모바일, 테블릿, PC로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1-8. 상단메뉴 – 우측
체크리스트, 알림메세지, 찾기, 도움말, 미리보기가 제공되어 엘리멘터로 페이지를 만드는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위젯패널
제목(Heading): 텍스트를 삽입하고 스타일링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Text Editor): 서식 있는 텍스트를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이미지(Image): 이미지를 삽입하고 크기, 정렬, 링크를 설정합니다.
버튼(Button): 클릭 가능한 버튼을 생성하며, 링크, 색상, 텍스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Video): YouTube, Vimeo 등에서 동영상을 삽입하고 설정합니다.
3. 네비게이션
제공 기능: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위젯을 캔버스에 추가. 선택한 요소의 콘텐츠(Content), 디자인(Style), 고급 설정(Advanced) 을 변경. 위젯 검색 기능을 사용해 원하는 위젯을 빠르게 찾기.
페이지 구조 보기: 모든 섹션, 컬럼, 위젯을 계층적으로 표시.
빠른 탐색: 특정 요소를 클릭해 직접 수정 가능.
드래그 앤 드롭: 요소를 이동하거나 순서를 재배치.
이름 지정: 섹션과 위젯에 이름을 붙여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
요소 숨기기 및 표시: 특정 요소를 숨기거나 다시 활성화.
삭제 및 복사: 탐색기에서 바로 요소를 삭제하거나 복사 가능.
응답성 확인: 데스크톱, 태블릿, 모바일 화면에서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수정.
4. 컨텐츠영역
제공 기능: 섹션, 컬럼, 위젯을 추가하거나 삭제. 드래그 앤 드롭으로 레이아웃과 컨테이너 위치를 조정. 실시간으로 디자인을 확인하며 작업.
확장 필드
KBoard 게시판의 입력 필드 설정 화면에 대한 상세 설명입니다. 각 입력 필드는 게시판 글쓰기, 보기 화면에서 어떤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표시할지를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래는 주요 필드들의 기능과 설정 방법입니다.
텍스트/숨김: 홈페이지 URL
필드 레이블
설명: 사용자가 보게 될 필드의 이름(레이블)입니다.
예시: “홈페이지 URL”은 사용자에게 이 필드가 URL 입력용임을 나타냅니다.
사용 예: “문의 대상 URL” 또는 “관련 웹사이트”와 같이 목적에 따라 레이블을 변경 가능.
메타키
설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이 필드의 고유 키입니다.
주의사항: 저장 후에는 변경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예시: home_url은 이 필드의 데이터가 “home_url”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됨을 의미합니다.
표시할 권한
제한 없음: 모든 사용자가 필드를 볼 수 있습니다.
특정 권한: 로그인 사용자 또는 특정 역할(Role)을 가진 사용자만 필드를 볼 수 있음.